계산기를 사용할 때 가장 유용한 MC,MR,M-,M+ 기능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이 버튼들은 메모리 기능인데요. 이 기능이 있으면 따로 기억할 필요 없이 계산기 이용하기 편리합니다.
계산기에 메모리기능 이용하면 더 편할까? 헷갈리는거 아니야? 좀만 쓰시다 보면 훨씬 편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예를 들면 이자같은 것을 생각할 때도 유용합니다.
100만원을 1년짜리 2% 정기예금과 500만원을 2.5%주는 정기예금에 가입했을때 내 1년 총이자는 얼마지?
=100만원x0.02+500만원x0.025.
2만원 + 12.5만원.
즉, 14.5만원이 1년 이자인데요
위에 100만원x0.02+500만원x0.025를 계산기로 순서대로 누르면 계산이 엉크러집니다.
왜냐면 계산을 제대로 하려면 (100만원x0.02)+(500만원x0.025)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처음에 100만원x0.02를 하고 2만원을 기억해두고
다시 500만원x0.025를 누르고 12.5만원을 구한 후 2만원을 구해야합니다.
머리로 기억(메모리)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억할게 한개니 쉽지만 더 많이 있다면 기억하긴 힘이듭니다.
그 때 메모리 기능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각 버튼의 뜻 입니다.
MR = Memory Return(Read) = 메모리에 있는걸 불러올때 사용합니다.
MC =Memory Cancel(Clear) = 메모리에 있는걸 지울 때 사용합니다.
M+ = 메모리에 +된 상태로 저장됩니다.
M- = 메모리에 - 된 상태로 저장됩니다.
따라서 위에 계산을 다시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면
100만원x0.02+500만원x0.025
100만원x0.02 M+ 누르고
500만원x0.025 M+ 누르고
MR 누르면 답이 나옵니다.
이제 14.5만원은 메모리에 저장 되어 있어서 다른 계산을 하더라도
MR버튼을 누르면 나타납니다.
보통 계산기에서 누르는 AC 나 C 버튼을 누른다 하더라도 메모리는 지워지지 않습니다.
메모리를 지우려면 MC를 눌러서 지워야 합니다.
*메모리 기능을 사용하려면 일단 기존 메모리가 필요없을테니 MC를 누르고 계산해야 기존에 있던 데이터에 누적되는걸 방지 할 수 있습니다.
편하게 생각하면 M+를 누르면 저장, MR 누르면 저장된거 불러오기, MC는 저장된거 지우기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음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22,432 x 3 + 123 x 2 = ?
답은 67,542 입니다.
방법은
22432 x 3 (M+)
123 x 2 (M+) (MR) 순서대로 입력 입니다.
따로 기억하거나 종이에 기록하지 않고 계산기로 답이 나왔으면
메모리 기능이 잘 이용할 수 있게 되어진 것입니다.
'꿀 TIP > 꿀 TIP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톡소리가 알람소리 안날때 고치는 방법 (0) | 2019.08.11 |
---|---|
바나나 맛있는 색깔 고르기 (바나나 컬러 8단계) (0) | 2019.07.17 |
캐리비안베이 어트랙션 중 줄 없고 좋은 것 (0) | 2019.07.03 |
마이신한포인트 현금 전환방법 (0) | 2019.05.27 |
금세/금새 안 헷갈리는 방법 (0) | 2019.04.24 |
잠자는 돈 찾기 [휴면계좌통합 조회] (0) | 2019.04.02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보이스피싱 (0) | 2019.03.08 |
아웃백 추천 조합[ 2인 기준] (2) | 2019.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