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 TIP/꿀 TIP 기록

GDP 와 GNP

by RNDM 2017. 8. 9.
반응형

국민소득을 측정하는 방식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들어 봤을 GDP 와 GNP에 관하여 정리했습니다.



1. GDP


GDP는 국내총생산이라고 하며 Gross Domestic Product의 준말입니다.

정확한 정의는 일정기간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의 합니다.

일정기간, 한 국가, 생산된 , 모든 최종생산물, 시장가치가 포인트인데요.


-일정기간 : 어느 딱 시점이 아닌 기간으로 보통 1년을 기준으로 합니다.

-한 국가를 기준으로 측정합니다.(속지주의)  <=> 속인주의 

 즉, 우리나라의 있는 외국기업의 생산물도 한국의 GDP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생산된 :  일정기간 동안 생산된 것을 이미 합니다. 지어지고 있는 집은 아직 생산된 건 아니니 포함이 안됩니다.

-모든 최종생물의 : 예를 들어 가구를 만들면 나무->합판-> 가구가 되는식인데. 중간에 일어난 가치를(합판 등) GDP에 포함시키면 가구가 될 경우에도 그 GDP가 또 중복합산되니 결국 최종생산물인 가구의 가치만 GDP에 포함합니다.

-시장가치의 합 : 실제로 매매가 되는 것만 포함됩니다. 그냥 무료로 주고 받는 거는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2. GNP


GNP는 국민총샌산이라고 하며 Gross National Product의 준말입니다.

일정기간동안 한 나라의 국민에 의해 생산되어 최종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시장가치를 말합니다.

GDP가 국가에 속한 '속지주의'라면, GNP는 국민에 의해 결정되는 '속인주의'입니다.


3. GDP와 GNP의 비교


GNP는 1990년대 까지 한나라의 소득을 측정하는 지표로 널리 쓰였는데 , 점차 GDP가 중요해 지면서 지금은 거의 GDP를 쓴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GNP기준 성장률이 국내의 경기나 고용사정등을 제대로 반영을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GDP는 국가가 기준이고 GNP는 국민이 기준이라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가치를 발생하면 GDP에는 포함되면서 GNP에는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한국인이 외국에서 가치를 발생하면 GNP에는 포함이 되지만 GDP에는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4. 1인당 GDP


GDP는 숫자가 너무 커서 그런지 1인당 GDP도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1인당 GDP는 GDP를 인구로 나눈건데 1명이 1년에 얼마의 가치 만큼 일했다 라고 알려주는 것이니 이 수치가 감이 잘 오긴 합니다. 2016년 기준 한국은 27,500달러 정도 하는데 대략 1년에 2,750만원 정도 벌었네요.


자세한 수치나 다른 나라의 인당GDP를 알고 싶으시면 위키디비아를 통하셔서~ --> 위키디피아 1인당 GDP 

반응형

댓글